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최댓값
- wcss
- del
- sklearn
- insert()
- pandas
- DataAccess
- hierarchical_clustering
- dendrogram
- numpy
- 덴드로그램
- append()
- 분류 결과표
- data
- 최솟값
- len()
- string
- analizer
- 반복문
- count()
- nan
- Machine Learning
- function
- matplotlib
- list
- DataFrame
- elbow method
- Dictionary
- IN
- Python
- Today
- Total
목록Python/Basic (37)
개발공부

Tuple - Immutable Python object - 튜플은 시퀀스, 즉 순서가 있다. - 튜플은 괄호 ( ) 를 사용한다. -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데이터 추가, 삭제, 변경이 안된다. - 튜플은 주로 보안을 위해 사용한다. 튜플 만들기 - () 와 tuple() 을 사용해 만들 수 있다. - () 를 안해도 데이터를 나열하여 변수선언을 하면 튜플로 생성된다. - 튜플의 값을 하나만 선언시 int형으로 생성된다. - 그러므로 (1, )와 같은 식으로 선언해야 된다. 아래와 같은 튜플이 있다. 튜플은 데이터 추가, 삭제, 변경이 안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item, key, value 값 얻기 - items(), keys(), values()를 사용해 얻을 수 있다. 특정 값의 유무 파악 - in 을 사용해 특정 key값의 유무를 얻을 수 있다. - value는 직접 접근이 안되고 values()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데이터 추가 - dictionary[key] = value의 형태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 update()를 사용해 딕셔너리에 다른 딕셔너리를 추가로 넣을 수 있다. 데이터 변경 데이터 삭제 - del 를 사용해 데이터 삭제를 할 수 있다. - clear()를 사용하면 모든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Dictionary - my_dict =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딕셔너리는 키 밸류의 쌍으로 되어 있다. - 한쌍 : item 아이템 - 아이템의 왼쪽 : key 키 - 아이템의 오른쪽 : value 밸류 - 키는, 딕셔너리 안에 유일한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키가 같은 값을 가질 수 없다. 그러나 밸류는 같은 값이 여러개 있어도 상관없다. - 리스트는 인덱스의 오프셋으로 접근하지만, 딕셔너리는 키로 접근한다. - { }, dict() 로 생성 가능하다. Data access - 딕셔너리의 데이터 억세스는 인덱스가 아니라 '키'로 억세스한다. - 없는 키값에 억세스하면 KeyError가 발생한다. - get() 를 사용해도 데이..

항목들을 정렬하기 - 원래의 리스트 자체는 건들지 않고, 새롭게 정렬한 리스트를 반환하는 경우 : sorted() - 원래의 리스트 자체를 정렬해서 변경하는 경우 : sort() - reverse 인자를 통해 오름차순, 내림차순을 정할 수 있다. - sorted()는 파이썬 내장 함수, sort()는 list 함수이다.

리스트 안에, 원하는 값이 있는지 확인하기 - in 을 사용하여 리스트에 해당 데이터가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count() - list 내 해당 데이터가 몇개 있는지 알 수 있다. len() - 항목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 list에 쓰일 경우 리스트에 들어있는 항목들의 전체 갯수를 구할 수 있다.

list 항목 삭제하기 >>> week = ['Sun', 'Mon', 'Tue', 'Wed', 'Thu', 'Fri', 'Sat'] >>> week ['Sun', 'Mon', 'Tue', 'Wed', 'Thu', 'Fri', 'Sat'] -del 키워드로 삭제 >>> del week[1] >>> week ['Sun', 'Tue', 'Wed', 'Thu', 'Fri', 'Sat'] - remove()로 삭제 >>> week.remove('Thu') >>> week ['Sun', 'Tue', 'Wed', 'Fri', 'Sat'] - pop()로 삭제 - pop()은 삭제시 삭제한 데이터를 반환한다. >>> week.pop() 'Sat' >>> week ['Sun', 'Tue', 'Wed', 'Fri'] >>..

리스트 값 바꾸기 - =을 사용하여 값을 쉽게 바꿀 수 있다. >>> week = ['Mon', 'Tue', 'Wed', 'Thu', 'Fri'] >>> week[0] = 'Sun' >>> week ['Sun', 'Tue', 'Wed', 'Thu', 'Fri'] 항목 추가하기 - append()를 사용하여 항목을 맨 뒤에 추가할 수 있다. - insert()를 사용하여 특정 위치에 값을 추가할 수 있다. >>> week = ['Sun', 'Tue', 'Wed', 'Thu', 'Fri'] # 리스트의 맨 뒤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 append() 함수 >>> week.append('Sat') >>> week ['Sun', 'Tue', 'Wed', 'Thu', 'Fri', 'Sat'] # 특정 위치에 데이..

>>> [] [] >>> list() [] List -데이터를 여러 개 저장하는데 사용합니다. -순서가 있습니다. 즉, 인덱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값을 바꿀 수 있습니다. 즉, mutable 이라고 합니다. List 만들기 - [] - list() >>> [] [] >>> list() [] List offset으로 값 얻기 - [] 를 사용하여 값을 얻을 수 있다. >>> week = ['Mon', 'Tue', 'Wed', 'Thu', 'Fri'] >>> week ['Mon', 'Tue', 'Wed', 'Thu', 'Fri'] >>> week[1] 'Tue' >>> week[-1] 'Fri' >>> week[1 : 3 + 1] ['Tue', 'Wed', 'Thu'] - list 안의 list의 값또한 ..

문자열의 갯수 파악 - count() - 찾는 문자열이 몇개 있는지 알려준다. >>> poem.count('year') 2 >>> poem.count('banana') 0 in - 문자열내 해당 단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year' in poem True >>> 'banana' in poem False startwith('a') - 문자열이 a로 시작하면 True를 반환, 아닐시 False를 반환한다. >>> file = '2022_05_01_report_3.xlsx' >>> file.startswith('2022') 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