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an
- matplotlib
- elbow method
- data
- list
- count()
- 반복문
- 덴드로그램
- len()
- del
- insert()
- analizer
- append()
- DataFrame
- Dictionary
- numpy
- hierarchical_clustering
- 최댓값
- Machine Learning
- DataAccess
- 최솟값
- IN
- Python
- sklearn
- function
- string
- dendrogram
- wcss
- 분류 결과표
- pandas
- Today
- Total
목록Python/Streamlit (19)
개발공부

Streamlit의 slider() 함수를 이용해 만든다. 숫자를 조정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st.slider('라벨명', 시작숫자, 끝숫자, 디폴트 숫자, step) import streamlit as st def main(): age = st.slider('나이', 1, 120, 30, ) st.text('제가 선택한 나이는 {}입니다.'.format(age)) if __name__ == '__main__': main()

Streamlit의 multiselect()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여러개 중에서 여러개를 선택할 수 있다. 리턴값은 선택한 문자열들의 리스트이다. import streamlit as st def main(): language = ['Python', 'C', 'Java', 'Go', 'PHP'] multi = st.multiselect('여러개 선택가능', language) st.write(multi) if __name__ == '__main__': main()

Streamlit의 selectbox()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리턴값은 선택한 문자열이다. import streamlit as st def main(): language = ['Python', 'C', 'Java', 'Go', 'PHP'] my_choice = st.selectbox('좋아하는 언어 선택', language) if my_choice == language[0] : st.write('파이썬을 선택했습니다.') elif my_choice == language[1] : st.write('C 를 선택했습니다.') elif my_choice == language[2] : st.write('JAVA 를 선택했습니다.') elif my_choice == language[3] : st.write('GO..

Streamlit의 checkbox()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리턴값은 True / False 이다. import streamlit as st def main(): if st.checkbox('체크 박스') : st.text('체크 했습니다.') else : st.text('체크 해제 했습니다.') if __name__ == '__main__': main()

Streamlit의 radio() 함수를 사용하면된다. 리턴값은 선택한 문자열이다. import streamlit as st def main(): selected = st.radio('라디오', ['1번','2번','3번']) if selected == '1번': st.text('1번을 선택했습니다.') elif selected == '2번': st.text('2번을 선택했습니다.') elif selected == '3번': st.text('3번을 선택했습니다.') if __name__ == '__main__': main()

Streamlit의 button() 함수를 이용하면 버튼을 만들 수 있다. 버튼의 리턴값은 True / False로 구분된다. import streamlit as st def main(): st.button('버튼') if __name__ == '__main__': main() 버튼 클릭시 버튼클릭 문구 출력하기 import streamlit as st def main(): if st.button('버튼'): st.text('버튼클릭') if __name__ == '__main__': main()

streamlit의 dataframe() 함수를 이용하면 된다. import streamlit as st import pandas as pd def main(): df = pd.read_csv('data2/iris.csv') st.dataframe(df) species = df['species'].unique() st.text('아이리스 꽃은 ' + species + ' 으로 되어있다.') st.dataframe(df.head()) # write로 해도 가능 st.write(df.head()) if __name__ == '__main__': main()

import streamlit as st def main(): st.title('TITLE') st.text('TEXT') st.header('HEADER') st.subheader('SUB HEADER') st.success('SUCCESS 작업이 성공했을 때 사용하자.') st.warning('WARNING 경고 문구를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하자.') st.info('INFO 정보를 보여주고 싶을때') st.error('ERRO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용') # 파이썬의 함수 사용법을 보여주고 싶을 때 # st.help(함수명) st.help(sum) st.help(len) if __name__ == '__main__': main()

스트림릿 파이썬기반 데이터 분석 대시보드를 만들어주는 웹 개발 프레임워크이다. 설치방법 파이썬 쉘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준다. pip install streamlit 이제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에서 새로운 파이썬 파일을 만들어 아래와 같이 입력해보자. # 스트림릿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한 임포트 import streamlit as st # 웹 대시보드 개발 라이브러리인, 스트림릿은, # main 함수가 있어야 한다. # 실행 방법 streamlit run 파일명 def main() : st.title('Hello World') if __name__ == '__main__' : main() 그후 터미널을 열어 'streamlit run 파일명' 을 적으면 streamlit이 실행된다. 그러면 아래와같은 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