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ataFrame
- matplotlib
- dendrogram
- Python
- 분류 결과표
- list
- DataAccess
- append()
- Machine Learning
- nan
- del
- numpy
- function
- 덴드로그램
- len()
- 최솟값
- 최댓값
- 반복문
- elbow method
- hierarchical_clustering
- data
- pandas
- sklearn
- string
- insert()
- IN
- count()
- Dictionary
- analizer
- wcss
- Today
- Total
목록Android (35)
개발공부

AlertDialog AlertDialog는 팝업창을 띄워 사용자에게 선택창을 보여주고 선택을 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AlertDialog를 사용해 사용자가 기계의 뒤로가기(back) 버튼을 눌렀을 때, 종료를 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를 선택하는 예제코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 ... } // 백 버튼누를때 실행되는 함수 @Override public void onBackPressed() { // AlertDialog 객체 생성 AlertDialog.Builder alert = new..

CountDownTimer는 총 시간을 설정하고 일정한 초대로 줄어드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다 생성하기 // 타이머를 사용하기 위한, 멤버변수 선언 CountDownTimer timer; 실행하기 timer = new CountDownTimer(총 시간 초 * 1000, 줄어드는 단위초 * 1000) { @Override public void onTick(long l) { // 매초가 줄어들 때마다 실행시키는 함수 // l ==> 현재 시간 } @Override public void onFinish() { // 타이머가 종료될때 실행되는 함수 } }; //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함수 timer.start(); 타이머 중지시키기 timer.cancel();

android:targetSandboxVersion="1" 이 앱에서 사용할 타겟 샌드박스입니다. 샌드박스 버전 번호가 높을수록 보안 수준이 높습니다. 기본값은 1이며 2로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속성을 2로 설정하면 앱이 다른 SELinux 샌드박스로 전환됩니다. 인터넷 접속권한을 얻습니다. android:usesCleartextTraffic="true" android:usesCleartextTraffic를 true로 설정하시면 모든 Http 주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여러가지 API를 무료로 제공해주는 jsonplaceholder로 예제를 해보겠습니다.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 JSONPlaceholder - Free Fake REST API {JSON} Placeholder Free fake API for testing and prototyping. Powered by JSON Server + LowDB. Tested with XV. As of Oct 2021, serving ~1.7 billion requests each month. jsonplaceholder.typicode.com GET 메소드를 사용해 아래 post/1를 호출해 보겠습니다. activity_main.xml res/xml 에 network_securi..

안드로이드 액티비티 라이프 사이클 활동 수명 주기 단계 간에 전환하기 위해 활동 클래스는 6가지 콜백으로 구성된 핵심 집합의 onCreate(), onStart(), onResume(), onPause(), onStop(), onDestroy()를 제공합니다. 액티비티가 새로운 상태에 들어가면 시스템은 각 콜백을 호출합니다. 콜백함수 onCreate() 이 콜백함수는 시스템이 먼저 액티비티를 생성할 때 실행됩니다. 필수적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메소드에서 액티비티의 전체 수명 주기 동안 한 번만 발생해야 하는 기본 애플리케이션 시작 로직을 실행합니다. onStart() 액티비티가 running 상태에 들어가면 시스템은 이 콜백을 호출합니다. 이 콜백이 호출되면 액티비티가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앱은 활동을 ..

TextView를 받아와서 setText() 함수를 사용할 때 문자열이 아닌 다른 타입을 넣으면은 앱이 꺼진다. 이럴때는 형변환을 시켜줘야 하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 + 를 추가해주는 것이다. int num = 0; TextView.setText(""+ num);

// 레이아웃의 너비 높이 속성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 위의 공간 android:layout_marginTop="20dp" // 아래의 공간 android:layout_marginBottom="20dp" // 배경색 android:background="#E38282" // 글자의 위치 android:gravity="center" // 글자 아래의 공간 android:paddingBottom="15dp" // 내용 android:text="Hello" // 글자색 android:textColor="#F1E5E5" // 글자 사이즈 android:textSize="24sp" // visibilit..

구글에 원하는 라이브러리 내용을 검색합니다.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는 깃허브에 많으니 github.com을 붙여 검색합니다. 저는 애니메이션을 검색하겠습니다. 이제 깃허브 레파지토리에 들어갑니다. Readme를 보면 사용법이 나옵니다. Gradle에 있는 dependecies 안의 내용을 복사하고 본인 프로젝트의 Gradle Scripts - build.gradle (Modul: ..) 에 들어갑니다. 아래와 같이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어줍니다. 그럼 아래처럼 sync를 하라고 나오는데 sync now를 눌러줍니다. 이제 완료됐습니다.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버튼 id가 button이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이 쓰면 버튼을 눌렀을 때 동작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 화면에서 만든 버튼을 가져온다. Button btn = findViewById(R.id.button); btn.setOnClickListener(new View.OnClick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onCl..